[기고] 안전띠 착용! 사소한 것 같으나 나와 가족의 안전을 지키는 확실한 방법입니다통영경찰서 교통과 경장 오도엽
"바로 앞에서 출발했으니 좀 봐주세요"
안전띠 미착용에 대한 단속을 하다 보면은 자주 듣는 말이다. 안전띠 착용은 자동차를 타면 습관적으로 착용해야 되는 것이다.
특히 국도나 고속도로 진입부는 화물차 운전자의 단속 비율이 높다. 우편물의 집배, 폐기물의 수집 그 밖에 빈번히 승·하차 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자가 해당업무를 위해 자동차를 운전하거나 승차하는 한정적인 상황에서만 안전띠 미착용 사유로 인정되는 경우가 있다.
대형차량은 무게중심이 높아 교통사고 시 전복 위험이 크고, 운전석의 개방된 부분이 넓고 높이 설치되어 있어서, 안전띠 착용을 하지 않고 사고가 나면 사망률은 기하 급수적으로 상승한다.
최초의 안전벨트는 비행기에서 사용되었다고 한다. 상용차에 설치되어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삼점식 안전띠는 스웨덴 볼보(Volvo)사에서 최초로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특허 등록을 하면 천문학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장치였으나 안전을 최우선으로 여긴 볼보사 임원진의 선택으로 공짜로 배포·사용되었다고 한다.
이 삼점식 안전띠는 개발된 지 60년이 넘었으나 아직도 우리의 생활 속에서 활용되고 있으니 혁신적인 안전장치임에는 분명하다. 그러므로 삼점식 안전띠는 대중의 뇌리에 ‘안전=볼보’라는 인식의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안전한 볼보차는 타고 싶으나 볼보에서 안전을 위해 고안한 안전띠는 경고음이 듣기 싫어 인터넷에서 구매한 클립을 끼워놓는 것은 모순적인 행동이 아닐 수 없으므로 이 기고문을 보는 사람들은 지양해 주셨으면 좋겠다.
만약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은 채 차량 충돌 시 차량의 속력과 방향이 급격히 변하며 탑승한 사람은 관성의 법칙으로 인해 차량이 달리는 속도 그대로 신체가 사방으로 튀어 나가 큰 피해를 입을 수가 있다.
안전수칙 준수는 습관이다. 교통현장 경찰관으로 3년간 일하며 느낀 점은 '이번 한잔은 괜찮겠지', '아무도 안보니 중앙선 침범해도 괜찮겠지' 하는 습관이 쌓인 운전자는 대개 교통사고도 잦고, 교통법규를 위반하는 사례도 많을 것이다.
그러나 '누가 보지 않아도 이건 지켜야지'라는 생각과 습관이 베인 운전자는 대체적으로 교통사고도 없고, 교통법규를 잘 지키고 있을 것이다. 안전띠 착용 뿐만 아니라 다른 안전수칙도 지키는 습관이 쌓여 모두의 안전과 행복이 지켜지길 바란다. <저작권자 ⓒ tynp.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많이 본 기사
|